반응형

전체 글 237

최저시급과 연봉 1억은 똑같다

'근로자'라는 이름으로 일을 하고 있으면 최저시급을 받는 사람과 연봉 1억을 받는 사람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실수령액을 계산해보자 최저시급 최저시급으로 주 40시간씩 일했을 때, 1년 동안의 실수령액을 계산해봅시다 한 달에 ₩1,914,440의 월급이 기대가 되는군요 이 계산에는 세금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니, 연봉 계산기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해당 월급을 받을 경우 연봉은 다음과 같습니다 12 X 1,914,440 = 22,973,280 최저임금 근로자의 기대되는 1년 동안의 실수령액은 ₩20,741,280입니다 연봉 1억 근로자 1억 연봉 근로자의 기대되는 1년 동안의 실수령액은 ₩78,329,920입니다 연봉이 1억인 경우, 종합소득세 세율이 35%입니다 https://goldtown.tistory.c..

에세이 2022.11.21

세상이 쉽다는 느낌

사업가 자청 님이 드로우 앤드류 님 채널의 인터뷰에 나와서 위 사진과 같이 넉살을 떠는 장면이 있었습니다 독서와 글쓰기로 돈 버는 노하우를 터득하여 세상이 쉽다는 농담을 한 것입니다 과거에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문제를 오래 붙잡고 고민하다 보면 점점 더 복잡해지고 미궁에 빠지는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오히려 휴식시간을 가지고 리프레쉬를 한 후에, 문제에 대한 간단한 해결책이 떠오른 적이 있습니다 이처럼 어떤 문제나 상황을 복잡하게 보기 시작하면 한없이 복잡해진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문제나 상황을 간단하게 보고 간단하고 정석적인 해결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성공하기 위해, 세상을 쉽게 보기 위해 어떤 관점을 가져야하는 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우리 모두 알고 있는 성공하는 방법 우리는 ..

에세이 2022.11.19

[책 추천] 뉴미디어 트렌드 2022

2022년이 다 끝나가는 시점에서 2022년의 뉴미디어 트렌드에 대한 책을 읽었습니다ㅎㅎ; 2022년을 다 보내고 나서 읽어보니, 이 책이 뉴미디어 트렌드의 핵심 요소를 잘 집약해놓았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은 10가지 핵심 키워드로 트렌드를 분류해놨습니다 그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캐 팬덤 숏폼 콘텐츠 호모집쿠스 MZ세대의 재테크 메타버스 오리지널 콘텐츠 e스포츠 브랜디드 콘텐츠 알고리즘 읽고 인상 깊었던 부분과 제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부캐 놀이의 유행 부캐는 부캐릭터의 줄임말로 게임에서 쓰이는 용어입니다 메인으로 플레이하던 본 캐릭터가 아닌 서브로 플레이하는 캐릭터라는 의미의 부캐릭터입니다 유재석의 부캐 '유산슬' 매드클라운의 부캐 '마미손' 김해준의 부캐 '최준' 이처럼 한 때 유행했었던 ..

책 추천&리뷰 2022.11.17

[사업 책 추천] 왜 사업하는가

https://goldtown.tistory.com/101 [직장인 추천도서] 왜 일하는가 우리가 답해야 할 질문 '왜 일하는가?' 월요일이 좋은 직장인이 있을까요? 그저 습관처럼 영혼 없이 출근하고 있다면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합니다 왜 일하는가? 왜 회사 일이 내 일 같지 않을까 goldtown.tistory.com 전에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님의 책 '왜 일하는가'를 재밌게 읽었습니다 서점에서 같은 작가의 책 '왜 사업하는가'가 보여서 읽어보았습니다 인간으로서 무엇이 옳은가? 이 책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문장입니다 인간으로서 무엇이 옳은 일인가?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님은 모든 것을 위 질문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립니다 위 질문에 충분한 대답이 된다면 회장님은 손해를 보는 결정도 망설임 없이 진행합니다 ..

책 추천&리뷰 2022.11.13

[유튜브 공부] 신사임당 유튜브 꿀팁 대방출!!

전 신사임당 님이 드로우 앤드류 님 채널에 출연하셔서 유튜브 운영에 도움 되는 꿀팁을 많이 얘기해주셨습니다 이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좋은 콘텐츠 생산 기본입니다 좋은 콘텐츠를 만들지 못하면 콘텐츠를 잘 판매하더라도 한계가 명확합니다 글쓰기, 스토리텔링, 콘텐츠 제작 등의 능력을 꾸준히 훈련해서 점점 더 나아져야 합니다 또한, 전 신사임당 님은 좋은 콘텐츠의 조건으로 다음 3가지를 뽑았습니다 공감 (감정) 정보 꿀팁적인 느낌 공감은 댓글, 콘텐츠 등에 눌린 공감 버튼의 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공감한 내용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내가 사람들의 공감에 싱크를 맞춰서 콘텐츠를 제작해야 합니다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능력을 갖췄다면, 이제는 잘 팔리는 콘텐츠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바이럴 콘..

[퍼스널 브랜딩] '드로우 마이 브랜드' 시리즈 정리

유튜버 드로우 앤드류 님의 영상 시리즈 '드로우 마이 브랜드'가 있습니다 이 시리즈는 퍼스널 브랜딩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재미와 정보 모두 잡은 이 시리즈를 저는 너무 재밌게 보았습니다 플랫폼에서 콘텐츠 공급자로서 새로운 채널을 만들 때 저는 이 영상에서 나온 방법을 적용합니다 이 퍼스널 브랜딩 기법을 쉽게 바로바로 적용하기 위해 브랜딩을 위해 답해야 할 것 리스트를 만들어 두었습니다 이 리스트를 공유해볼까 합니다 제가 유튜브 채널을 만들 때 정리 했던 내용을 공유하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브랜딩 하기 이름 골드타운 Gold Town 지각 내가 나를 어떻게 보는가? 경제 공부를 즐기는 사회초년생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보는가? 열심히 돈 공부하는, 모든 것을 돈에 연결시키는 사람 사람들이 나를 어떻..

기타 2022.11.12

[클래스101+ 후기] 카카오뷰 강의 솔직 후기

클래스101은 강의 플랫폼입니다 클래스101에 여러 유명 유튜버가 강의를 올린다는 소식을 통해 이 플랫폼을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강의를 직접 사서 들을 생각은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우연히 클래스101+ 광고 배너를 통해 클래스101+ 사이트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클래스101+는 넷플릭스나 왓챠처럼 구독을 하는 형태로 다양한 강의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2주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혜택에 있었고 강의를 둘러보니 카카오 뷰에 관한 강의도 있었습니다 저는 카카오 뷰를 사용하고 있었기에 '저는 이참에 카카오 뷰에 대해 공부해보자'는 마음가짐으로 클래스101+에 가입해서 강의를 들었습니다 카카오 뷰 강의 솔직 후기 강의 정보 강의명: 1달 안에 초고속으로 부업수익 만들기, 아직도 '카카오 뷰'로 돈 안 버세요..

100만 유튜버 마인드

최근에 골드타운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xMsdAMldk2AExc9CQ3E8eQ 골드타운 Gold Town 함께 하는 부자 공부 부자가 되기 위해 공부하고 공유합니다 www.youtube.com 유튜브를 시작할 때,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100만 유튜버끼리 통하는 공감대는 무엇일까? 구독자 100만 명까지 도달한 유튜버가 공통되게 경험해서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 마인드가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그 마인드를 가지게 된다면 저도 100만 유튜버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 마인드를 얻기 위해서는 100만 유튜버와 만나서 이야기를 나눠보면 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니 저는 '책'이라는 매개체를 활용했습니다 유..

원론과 방법론

어떤 종류의 성취를 얻기 위해서는 원론과 방법론이 필요합니다 주식 투자에서의 성취를 예시로 이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원론 한국어기초사전 사이트에서는 '원론적'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하고 있습니다 원론적: 어떤 것의 본질이나 바탕이 되는 것 어떤 일을 성취하는데에 있어서 원론적인 이야기를 한다고 표현합니다 이때 원론적인 이야기는 보통 마인드셋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주식 투자에서 대표적인 원론적인 이야기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좋은 기업을 오래 가지고 있어라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아라 공포에 사서 탐욕에 팔아라 무릎에 사서 어깨에서 팔아라 분할 매수, 분할 매도하라 1번을 예로 들어보면, 어떤 기업이 좋은 기업인지는 얘기하고 있지 않습니다 언제까지가 '오래'인지도 설명하고 있지 않습니다 두루뭉술한..

에세이 2022.11.12

인플레이션은 세금이다

책 '세금의 세계사'의 14장 제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4장. 채무와 인플레이션은 숨은 세금이다 이 문장에서 인플레이션에 초점을 맞춰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왜 세금일까? 세금이란? 우선 세금의 정의부터 봅시다 우리나라를 지키고 국민들이 풍요롭게 잘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돈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돈은 국민들이 내는 세금으로 마련합니다. 따라서 세금을 내는 것은 나라의 주인인 국민들이 나라의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스스로 납부하는 것을 뜻하며, 민주주의 국가에서 행복하게 잘 살기 위한 국민의 권리이자 의무입니다. 국세청에서는 세금을 위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나라의 운영을 위해 국민이 나라에 내는 돈입니다 인플레이션이란? 이번에는 인플레이션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

에세이 2022.11.11